1. 부자유한 어린이
①부자유한 교육은 그 생명이 충분히 살아갈 수 없게 만드는 것
②부자유한 교육은 생명체의 여러 가지 ‘감정’을 전적으로 무시하는 것
③문제아는 없고 문제아의 부모들이 있을 뿐이다.
④중립 - ‘죽음’을 의미, 죽음은 문제아를 삶은 건강한 어린이를 갖게 한다.
2. 자유로운 어린이
①자율 -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신념에 기초
②원죄는 존재하지 않는다.
③자유로운 어린이 사회에서는 어느 한 어린이가 특별히 두드러지지 않는다.
④자유 속에서 어린이는 자기 본연의 모습으로 훌륭하게 자랄 수 있다.
3. 사랑과 인정
①섬머힐 학교 학부모들은 자기 자녀가 어떻게 지내는지 묻지 않고 자신이 직접 와서 아이들을 본다.
②아이들에게 관용을 보임으로써 아이들을 관대함의 길로 이끌어 가야한다.
③아이들을 남에게 자랑삼아 내보이는 도구로 삼아서는 안된다.
4. 두려움
①두려움은 - 자기중심적
②영웅은 두려움을 적극적인 에너지로 전환
④행복한 가정은 자녀들에게 도덕적인 것을 요구하지 않고 솔직하고 정직하게 대한다.(이러한 가정에는 두려움이 끼어들지 않는다)
5. 열등감과 환상
①현실 세계에서 남보다 뛰어난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은 아이는 자신만의 환상의 세계 속에서 자아의 만족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.
6. 파괴성
①아이들의 파괴성은 무의식적으로 하는 상징적 행동.
②정상적인 아이의 파괴성은 미움이나 불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창조적인 환상.
7. 거짓말
①거짓말하는 부모는 거짓말하는 자녀를 갖게 된다.
②아이들의 거짓말은 대부분 두려움 때문에 생겨난다.
8. 책임감
①아이들에게 무제한의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.
②의무를 책임과 혼동해서는 안되고 의무감은 생활 속에서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.
9. 복종과 훈계
①어른들의 힘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아이에게 복종 하도록 하는 것은 잘못 된 것이다.
②복종은 서로 주고받는 일이어야 한다.
③순종은 사회적 예의이어야 한다.
④훈련은 목적을 위한 한 가지 수단.
⑤훈련이 아닌 사랑에 찬 환경이 어린 시절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대부분 해결해 준다.
10. 상과 벌
①상은 경쟁제도의 가장 나쁜 특징을 지니고 있다.
②상을 주는 것은 질투심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아이들의 심리에 악영향을 미친다.
③상은 달성한 일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감이라고 하는 주관적인 것이어야 한다.
④벌은 증오로부터 비롯되는 행위.
⑤매맞은 아이가 느끼는 것은 죄의식을 느끼지 않기 위해 숨겨야하는 혐오감이다.
⑥벌은 냉담하게 심판으로 것으로 고도로 도덕적이다.
11. 배설과 용변훈련
①사람들이 갖는 배설에 대한 혐오감이 어린이들에게 부정적이고 남을 미워하는 감정을 형성 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.
12. 음식물
①어린 시절 잘 먹는 행위는 큰 기쁨을 준다
②규칙적인 식사습관을 받아 온 아이들일수록 섬머힐에서의 식탁 예절이 좋지 못하다.
③산모는 아기가 태어날 때부터 직접 돌보도록 해야 한다.
13. 건강과 수면
①섬머힐 학교는 음식보다 행복을 우선으로 한다.
②섬머힐 아이들은 규칙적인 수면이 아니라 자유와 좋은 음식물과 신선한 공기 덕택으로 건강해 진다.
14. 청결과 의복
①옷차림 간섭을 부모가 자녀에게 하는 것은 자율적인 아이가 되지 못하도록 한다.
15. 장난감
①장난감 가게에서 파는 장난감 보다 부엌의 집기나 나무주걱 등 창조적인 장난감을 아이들은 더 좋아한다.
16. 유머
①어린이들이 유머와 장난을 할 때에는 우의와 친근감을 나타내는 뜻이다.
②훌륭한 교사와 부모는 어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유머감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플라톤] 국가 제2권 (0) | 2016.10.12 |
---|---|
섬머힐 : 7장 질의 응답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6장 부모들의 문제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5장 어린이의 문제점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4장 종교와 도덕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