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반적인 문제
①생의 편에 서는 것 - 사랑, 즐거움, 장난, 놀이, 사람들에 대한 배려 등
②생적대적인 것 - 의무, 복종, 이득, 권력 등
③오늘날 어른의 생각에 맞게 하는 교육 - 생적대적 세력을 키우는 짓
④경제적인 문제 해결만으로 증오, 비참, 범죄, 노이로제, 질병 등을 해결할 수는 없다
⑤결혼생활에서 공동의 지적 관심사는 두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.
⑥스테클 - 자살은 최종적인 성행위
2. 섬머힐학교에 대한 질문
①자기자신의 규칙들이 모든 면에서 그의 행동을 규제(자기에게만 영향을 줄 때 허용)
②집을 그리워하는 아이 - 자기가 가지고 싶은 가정을 그리워하는 아이.
③지진아 - 학교와 학과목에 대한 성적으로 어린이를 판단해서는 안된다
④깨끗한 마음은 충격받지 않을 수 있는 마음 - (마음속의 억압을 없애야 한다)
⑤위엄을 부리는 사람이 아이들을 열등자로 취급할 때 어린이는 말대꾸를 한다.
⑥자유로운 어린이 - 그들 생활이 영적, 창조적이므로 종교가 필요치 않다
3. 자녀양육에 대한 질문
①일을 처림함에 있어 내적포용력을 갖추어야 자녀양육에 도움이 된다.
②어린이에게 행복 - 억압을 되도록 적게 받는 상태
③절대적인 자유는 없다 - 다른 사람의 자유도 존중
④극기훈련 - 억압이나 수락의 의미가 아닌 다른 사람의 권리와 행복을 소중히 하면서 남들과
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는 일
⑤체벌은 잔인하고 증오심에 차 있기 때문에 나쁘다(무의식적인 성도착 행위)
⑥나쁜 습관 고치기 - 그 버릇에 대한 관심을 오래 계속 갖도록 허용하는 일
⑦가정의 의견이 학교의 의견 보다 더 영향력이 크다
⑧진정한 예술가는 작품을 완성하고 나서 흥미를 잃는다(어린이는 소유의식이 약하다)
4. 성 문제에 관한 질문
①외설 - 성이나 자연스러운 여러 기능들을 추잡하다고 생각하는 태도
②외설적 어른들 - 아이들의 무지와 죄의식을 가중시킨다.
③부드럽고 애정으로 감싼 형태의 행위는 모두 적절한 것이다.
④어른들이 알려주지 않은 성에 대한 진실에 아이들은 호기심을 가진다.
⑤음담패설은 성을 억제하는 데서 오는 직접적인 결과
5. 종교에 대한 질문
①원죄사상의 종교는 어린이의 정신을 손상 시킨다.
6. 심리에 대한 질문
①자기혐오감 - 반사회적 행동, 말다툼, 파괴적 행동, 못된 성미 등으로 나타남
②어떤 부모도 자기 자녀를 분석적으로 다루지는 못한다
③숙제는 수치스러운 관습 - 어린이는 숙제를 좋아하지 않는다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플라톤]국가제3권 (0) | 2016.10.12 |
---|---|
[플라톤] 국가 제2권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6장 부모들의 문제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5장 어린이의 문제점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4장 종교와 도덕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