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종교
-섬머힐 학교에서는 종교 교육이 없다.
-인간의 성장과 행복에 제한을 가하는 권위로서의 ‘신’ 은 부정.
-문명이 변함에 따라 신에 대한 개념도 변하므로 종교는 영원하지 않다.
-수영을 하면서 보내는 주일날 아침이 더 거룩하다.
-선행과 자비와 봉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-조직적, 인습적인 종교가 개인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는 손쉬운 방법이 된다.
(종교인은 자기의 짐을 신에게 맡겨 버린다)
-종교는 삶을 두려워한다 : 삶으로 부터의 도피.
-종교와 신비주의는 비현실적인 사고와 행동을 조장한다.
-원죄를 부정.
-어린이는 종교적 신비주의에 빠져서는 안 된다 : 현실 도피의 결과를 가져다 줌.
-어린이에게 기도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(스스로 결정할 나이가 될때까지 간섭해서는 안됨).
-종교적 신비주의보다 위험한 것은 어린이들에게 누군가를 미워하도록 하는 것이다.
-정신적으로 건강한 가치관을 심어주어야 한다.
-종교는 무의식을 악마로 만들고, 인간에게 그 유혹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경고한다.
-어린이에게 종교 - 공포(삶에 대한 부정, 열등자, 겁쟁이를 만듬).
-종교적으로 된다는 것은 비참한 일이다.
-진정한 종교는 인간이 ‘자기자신’ 속에 있는 크고 작은 모든 것을 사랑하면서 기도하는 것이다.
2. 도덕 교육
-두려움은 정신착란의 시작 - 어떤 형태로든 어린이에게 겁을 주어서는 안 된다.
-금지, 훈계, 설교, 도덕성의 강요 - 어린이들에게 정신적 손상
-심리학의 원리
∙초기 단계 교육이 중요 (갓난아기 때부터 제대로 된 훈련이 중요),
∙인간의 행위는 무의식에 의해 지배.
∙죄를 짓는 사람 - 상징적 행위 - 병적인 치료 필요
∙무의식의 심리학 - 행위 대부분 - 숨겨진 근원( 행동의 원인은 결코 알 수 없다)
-정당한 행위: 의식과 무의식의 조화.
-반사회적 행위: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의 결과.
-도덕적 규범
∙어린이를 나쁘게 만든다.
∙어린이 안의 자연의 의지 존중
∙어린이는 원래 자기 본위의 이기주의 - 도덕적 규범은 잘못된 어른들의 판단.
∙어린이의 이기심은 억제하지 않을 때 자연적으로 이타주의가 생김.
-충족되지 못한 욕구
∙무의식 속에 남는다.
∙무의식 속에 남은 욕구 - 어른이 되어서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남(반사회적 행위)
∙두 가지 자아(자연적으로 생긴 자아, 도덕교육이 만든 자아) 사이의 갈등이 유아단계로 후퇴.
∙병적 도벽증 - 행복에 대한 욕구 - 욕구 충족을 위한 되풀이 - 사회의 시선보다 유아 적 욕망이 더 강함.
-어린이의 도덕의식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인내심이 필요하다(적절한 시기에 가치들을 받 아들일 수 있도록 강요하지 말고 기다려야 한다)
-배움은 주위환경으로 부터 여러 가지 가치를 습득하는 과정으로 부모들 자신이 정직하고
도의심 있게 행동하면 그들의 자녀들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과정을 밟게 될 것이다.
3. 어린이에게의 영향력 행사
-도덕적 훈계: 어린이들에게 아무런 효과가 없다.
-어린이는 어른의 생각을 알 수 없다.(어른들의 기준에 맞는 요구는 잘못된 방법)
-어린이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시키지 못한다.
-부모들이 행사하는 자기만족을 위한 아이들에 대한 복종과 권력욕은 잘못된 것이다.
(인위적으로 재촉하지 않으면 적절한 성장 단계가 되면 아이들 스스로 발달)
-어른들이 생각하는 훌륭한 설교: 아이들에게는 죄의식을 강화시킴.
-착하게 되라고 가르치는 것
∙어린이의 자연적인 본능을 억압하는 것
∙어린이가 자기 자신을 싫어하도록 가르치는 것
∙자신을 사랑할 줄 알 때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.
-어른들은 스스로를 무의식적으로 자신들의 자녀와 동일시 한다.
∙자기혐오로 인해 자식들에게 훈계, 도덕적 설교
∙우리의 부모들이 부여한 본능 개선의 악순환.
4. 욕설
-어린이에게 욕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언어.
-섬머힐 학생들은 공공연히 욕을 하고 다른 학교 학생들은 몰래 숨어서 욕을 한다.
-어린이가 욕하는 것을 나무라는 어른들은 그들의 추잡함이 어린이들 보다 더 심하기 때문
-어린이들에게 알맞은 지도를 할 때에는 벌이나 욕이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.
5. 검열
-아이들에게는 단속이 가장 흥미 있는 책을 고르는 기준
-단속은 아무도 보호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무용.
-외설적인 책도 무지한 아이들에게는 흥미, 교육을 받은 아이들에게는 평범한 내용.
-어린이들을 성에 대한 무지에서 해방시켜주면 외설적인 책에 있는 위험은 사라진다.
-공포심을 일으키는 책은 어린이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지만 책을 못 읽도록 검열하기보다 는
공포심의 원인을 찾아내어주고 어린이의 영혼 속에 공포심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보살 펴 주어야 한다.
-잔인한 거인이나 교활한 마녀가 나오는 이야기책을 자녀에게 읽어주어서는 안된다.
-성적인 영화도 자유로운 어린이들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.
-어린이의 친구 사귀는 일(어린이 스스로 선택 능력이 있어 좋은 친구를 사귐)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플라톤] 국가 제2권 (0) | 2016.10.12 |
---|---|
섬머힐 : 7장 질의 응답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6장 부모들의 문제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5장 어린이의 문제점 (0) | 2016.10.12 |
섬머힐 : 2장 어린이 양육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