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개요
⓵ 현상학의 창시자
⓶ 관찰을 강조하는 경험론과 이성·이론을 강조하는 합리론 사이의 대립을 해소
⓷ 심리학주의와 역사주의에 대한 비평을 통해 실증주의와 결별
2. 초기생애 및 교육
⓵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남
⓶ 라이프치히·베를린·빈 대학교 등에서 물리학·수학·천문학·철학 등을 배움
⓷ 빈대학교에서 〈변수 계산 이론에 관하여〉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 취득
⓸ 브렌타노와 그를 따르는 학생 집단으로부터 결정적 자극 받음
⓹ 할레대학 교수, 괴팅겐대학교 교수, 프라이부르크대학교 교수
3. 후설의 현상학
ⓛ 의식으로 경험한 현상을 인과적으로 설명하거나 어떤 전제를 가정하지 않고 직접 기술하고 연구하는 것을 제1차적 목표로 삼는 20세기의 철학사조
⓶ 수는 정신의 산물
⓷ 의식은 의미를 구성하는 일이 일어나는 곳(인간 직관)
⓸ 지각·표상·상상·판단·느낌 등의 성격은 직접성 속에서 파악.
⓹ '사상 자체로'는 실재론을 위한 요구가 아님.
⓺ 사상 - 의식의 행위(이 행위 속에서 구성된 객관적인 것)
⓻ 현상학의 대상은 '순수 내재적 직관에 파악된 절대자료'이다
⓼ 현상학의 목표는 의식행위의 본질적 구조와 이 행위에 대응하는 객관적인 것을 발견하는 것
⓽ 현상학의 주제는 세계가 아닌 이 세계에 관한 인식이 생겨나는 양식
4. 현상학과 정신 생활의 재건
ⓛ 제1차 세계대전 - 정신문화·과학·철학이 의심할 여지없는 지위를 고수하고 있던 구시대 유럽 세계의 붕괴로 이해
⓶ 이전에 현상학을 위해 제공한 인식론적 기초 정립에 더 이상 만족할 수 없게 됨
⓷ 삶의 재건에서 철학의 임무를 강조하는 쪽으로 전환
⓸ 현상학은 그 환원 방법을 가지고 삶을 절대적으로 옹호하는 길, 즉 인간의 윤리적 자율성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명제를 발표
⓹ 의식의 현상학적·심리학적 분석 사이의 관계를 해명해나가며 논리학의 기초연구
⓺ 〈형식 논리학과 선험 논리학 : 논리적 이성의 비판을 위한 시론〉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실존철학]탈자존재의 철학 - 샤르트르 (0) | 2016.10.12 |
---|---|
[실존철학]신비한 경험론자 - 마르셀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야스퍼스(Jaspers)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 니체(Nietzsche)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실존적 사상가 - 키에르케고르(Kierkegaard)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