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생애
⓵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, 사상가, 비평가, 작가
⓶ 에콜 노르말에서 공부하고 철학 교수 자격 취득
⓷ 독일 유학하여 후설, 하이데거 공부
⓸ 소설 『구토』로 실존주의 문학 창시
2. 독불 전통의 종합
① 프랑스의 모든 전통을 독일의 전통과 결합시키려 함.
⓶ 의식은 반성 이전의 수평에서 시작.
⓷ 자기 보다는 타인의 실존을 신뢰.
⓸ 후설로부터 현상학 영향
⓹ 모든 종류의 내재론에 반대
3. 상상력의 해설
① 종래의 합리적, 실험적 이론의 비판으로부터 출발해서 배척.
⓶ 심상의 형상적 기술로부터 시작하고, 심상이 되기 위한 특성 확립
(심상: 지향적 의식, 사이비 관찰에 의거,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의식, 대상을 부재 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함)
⓷ 비존재, 상상력의 대상의 비실제를 강조.
⓸ 상상된 대상의 본질적인 無에 대해 말함.
⓹ 심상의 감정 충전을 강조
⓺ 상상작용은 마술적 성질을 갖고 있다고 믿음.
4. 자유의 체험
① 압제의 저항하는 힘에서, 선택의 책임에서 자유의 본질이 해명.
⓶ 독일에 점령되었을 당시는 우리는 가장 자유로웠다.
⓷ 모욕, 추방, 감금, 죽음, 강요당하는 모든 것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자유로워진다.
⓸ ‘자유’는 압제자에 대한 저항에서의 ‘부정’에서 부재적인 것은 ‘부정’의 거부하는 힘에서 체험 되는 것이다.
5. 무(無)와 부정
① 공허해진 의식은 無로 되고 주저의 제목은 『존재와 無』가 된다.
⓶ 의식은 실재적인 것의 부정작용에서 성립
⓷ 無는 존재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다
⓸ 無는 세계속으로 되가져와서 초월적 無로 하여금 내재자의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자 한다.
⓹ 환상이 없는 세대, 부정적 경험, 기만, 상실, 고통이 압도적인 세대의 감각 표현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실존철학]메를로 퐁티 (0) | 2016.10.12 |
---|---|
[실존철학]영웅적 반항 - 하이데거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신비한 경험론자 - 마르셀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후설(Husserl)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야스퍼스(Jaspers)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