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사고는 무엇인가
⓵ 시각적 및 직관적, 피부적, 분석적, 반성적이다.
⓶ 場에 의존 : 場의 무질서는 사고의 무질서에 표현됨.
⓷ 사고유형 : 비인격적 요소가 지배, 인격적 요소가 지배하느냐에 차이가 있음.
⓸ 하이데거의 사고 : 부동하지 않고 새로운 원천을 찾아내려는 희망을 갖고 태고의 층으로 뚫고 들어감. ‘건전한 것과 성스러운 것’ 에 대한 동경에 의해 고무되는 과도기 사상가의 개인적이고 자의적인 사고.
2. 하이데거의 문제
⓵ 현존재의 해석학 시도
⓶ 인간은 다른 유기물과 무기물에 대해 우위를 유지한다.
⓷ 실존은 존재 가능성(사람 자신이 되거나 사람 자신이 아니거나 할 가능성)
현존재는 가장 독특한 존재
⓸ 세계 내 존재는 현존재의 근본적 상태.
⓹ 시간이 해석 원리로 도입되고 모든 존재 이해의 지평으로서, 인간의 지평으로 규정.
⓺ 현상학의 근본적 변화 및 존재론과의 결합(현상학 = 해석 = 해석학)
3. 하이데거의 현상학
하이데거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자신의 개념적 도구를 발견하였고, 인간 실존의 존재 과정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발견하였다. 현상학은 현상에 대한 전개념적 파악의 영역을 밝혀주기 때문. 인간의 역사적인 [세계-내-존재]의 역동적인 매개체를 보여줌.
4. 역사성과 시간성
⓵ 신학에서 출발
⓶ 철학이란 역사적이고 과학적 창조적 재발견이며 해석의 형식.
⓷ 필증적 인식에 대한 요구와 환원
⓸ 존재의 시간성
5. 해석학 이론에 대한 후기 하이데거의 기여
⓵ <존재와 시간>에서 이해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다룸.
⓶ 현존재의 근본적인 존재방식으로서의 이해는 역사적 이해보다 더욱 근본적.
⓷ 이해를 존재론적 과정으로서 인간에게 있어 현실적인 것의 탈은폐로 봄.
⓸ [전회]를 축으로 하여 전기 사상과 후기 사상으로 대별되고 있음.
⓹ 전기와 후기를 통해 존재의 탈은페는 하이데거의 일관된 주제로 남아 있음.
'교육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실존철학]메를로 퐁티 (0) | 2016.10.12 |
---|---|
[실존철학]탈자존재의 철학 - 샤르트르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신비한 경험론자 - 마르셀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후설(Husserl) (0) | 2016.10.12 |
[실존철학]야스퍼스(Jaspers) (0) | 2016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