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실존철학]메를로 퐁티 1. 생애와 저술 ⓵ 1908년. 프랑스 로슈포르에서 유복한 카톨릭 집안의 아들로 태어남 ⓶ 1929년. 소르본 대학에서 후설 강연 들음. 철학 교수 자격시험 통과 ⓷ 후설의 현상학을 연구하던 중 후설 사후에 출판된 '유럽 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'에 관심을 갖고 1939년 후설의 미출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영웅적 반항 - 하이데거 1. 사고는 무엇인가 ⓵ 시각적 및 직관적, 피부적, 분석적, 반성적이다. ⓶ 場에 의존 : 場의 무질서는 사고의 무질서에 표현됨. ⓷ 사고유형 : 비인격적 요소가 지배, 인격적 요소가 지배하느냐에 차이가 있음. ⓸ 하이데거의 사고 : 부동하지 않고 새로운 원천을 찾아내려는 희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탈자존재의 철학 - 샤르트르 1. 생애 ⓵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, 사상가, 비평가, 작가 ⓶ 에콜 노르말에서 공부하고 철학 교수 자격 취득 ⓷ 독일 유학하여 후설, 하이데거 공부 ⓸ 소설 『구토』로 실존주의 문학 창시 2. 독불 전통의 종합 ① 프랑스의 모든 전통을 독일의 전통과 결합시키려 함. ⓶ 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신비한 경험론자 - 마르셀 1. 다양한 인물 ⓵ 최초의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⓶ 영국철학과 독일 철학의 관계를 살피는 것으로 연구 시작 ⓷ 음악·연극·철학의 세 방향에서 이루어진 탐구 ⓸ 극작가, 연극비평가, 음악애호가, 작곡가, 종교가, 철학자 2. 경험론의 변형 ⓵ 형이상학을 신비에 대한 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후설(Husserl) 1. 개요 ⓵ 현상학의 창시자 ⓶ 관찰을 강조하는 경험론과 이성·이론을 강조하는 합리론 사이의 대립을 해소 ⓷ 심리학주의와 역사주의에 대한 비평을 통해 실증주의와 결별 2. 초기생애 및 교육 ⓵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남 ⓶ 라이프치히·베를린·빈 대학교 등에서 물리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야스퍼스(Jaspers) 야스퍼스(Jaspers: 1883. 2. 23, 독일 올덴부르크-1969. 2. 26, 스위스 바젤) 1. 개요 ⓵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실존주의자 중 한 사람. ⓶ 인간의 자기 실존에 대한 직접적 관심으로부터 문제에 접근. ⓷ 독일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의 몰락에 대응: 사고의 새로운 통일을 모색(세계철학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 니체(Nietzsche) 1. 개요 ⓵ 독일 개신교 목사 집안의 외아들로 태어남. ② 실존 철학의 선구자 ③ 서구 기독교 전통을 무너트리고 새로운 가치 세우려고 함 2. 철학과의 만남과 행보 ⓵ 쇼펜하우어의 《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》를 접하면서 철학에 심취 ② 박사 학위없이 바젤대학 교수로 초빙 ③.. 교육철학 2016.10.12
[실존철학]실존적 사상가 - 키에르케고르(Kierkegaard) 1. 그의 다양한 익명과 하나의 인간 ⓵ 덴마크 코펜하겐 출신으로 대학시절 헤겔 철학에 심취 ⓶ 현대정신 생활의 핵심적 인물 ⓷ 변증법적 신학의 원천 2. 철학사적 위치 ⓵ 실존철학 운동 전체에서 가장 독창적인 인물 ⓶ 정신적 개체와 내면성 및 주체선에 관심을 가짐. &#.. 교육철학 2016.10.12
실존철학 실존철학은 20세기 전반에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인간의 현실적 존재로서의 본래적 자기, 즉 주체적 존재로서의 실존의 본질과 구조를 밝히려는 철학적 사조로 주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자각하고 그 인간 실존의 구조와 문제성을 밝히려는 철학이다. 데카르트적 코키토(cogito.. 교육철학 2016.10.12